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추석차례상 차리는 순서 방법

by suneaj 2025. 9. 18.
반응형


1. 차례상 차리는 기본 원칙


동쪽(왼쪽)에 시조, 서쪽(오른쪽)에 후손: 즉, 고인이 앉아 계신 방향에서 봤을 때 기준.


조상님 기준 좌포우혜(左脯右醯): 포(건어물, 육포)는 왼쪽, 식혜·술은 오른쪽.

어동육서(魚東肉西): 생선은 동쪽(왼쪽), 고기는 서쪽(오른쪽).

두동미서(頭東尾西): 생선은 머리가 동쪽, 꼬리가 서쪽을 향하게 놓음.

홍동백서(紅東白西): 과일·과자 등은 붉은색(사과, 대추)은 동쪽, 흰색(배, 밤)은 서쪽.

조율이시(棗栗梨枾): 과일은 대추 → 밤 → 배 → 감 순서로 놓음.



---

2. 차례상 차리는 순서


보통 다섯 줄로 나눠 차립니다.

(1) 제일 앞줄 – 제사 도구

신위(位牌) 앞에 놓이는 향, 촛대, 술잔, 식기 등이 위치.


(2) 첫째 줄 – 밥, 국, 술

왼쪽부터: 밥(메) – 국(갱) – 술잔.

밥은 뚜껑을 덮지 않고, 국은 맑은 탕으로 준비.


(3) 둘째 줄 – 생선, 고기, 탕

어동육서 원칙에 따라 왼쪽은 생선, 오른쪽은 고기.

탕은 보통 3개(소탕·어탕·계탕)를 준비.


(4) 셋째 줄 – 나물, 전, 적

좌포우혜 원칙에 따라 나물·포·전류를 배열.

산적, 육전, 동그랑땡 등을 고기 쪽에, 나물은 반대편에.


(5) 넷째 줄 – 과일, 떡, 과자

홍동백서 원칙대로 배열.

과일은 조율이시 순서(대추–밤–배–감)로 올림.

송편, 한과 등도 함께 올림.


(6) 다섯째 줄 – 술·식혜·다과

음료나 후식류를 마지막 줄에 놓음.



---


3. 제례 순서 (간단 정리)


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
│        [ 신위 · 지방 ]        │  ← 조상님 신위
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┘
        향, 촛대, 술잔 (첫 줄)

1줄 : 밥(왼쪽)   국(가운데)   술잔(오른쪽)

2줄 : 생선(동쪽/왼쪽)   탕(가운데)   고기(서쪽/오른쪽)

3줄 : 나물·포(왼쪽)   전·적(오른쪽)

4줄 : 과일 (홍동백서 → 붉은색 동쪽, 흰색 서쪽)
       조율이시 순서(대추–밤–배–감)
       송편, 한과, 떡류

5줄 : 술, 식혜, 다과




1. 강신: 향을 피우고 술 한 잔 올리며 조상님 모심.


2. 참신: 모두 두 번 절하여 조상님께 인사.


3. 헌주: 첫 잔 술 올리고 잠시 뚜껑 덮음.


4. 진찬: 상에 올린 음식 정돈.


5. 독축: 축문 낭독.


6. 재배: 모두 절(두 번 절).


7. 철상: 음식을 물리고, 가족들이 나누어 먹음.




👉 정리하면, 앞줄은 밥·국, 두 번째 줄은 고기·생선·탕, 세 번째 줄은 전·나물, 네 번째 줄은 과일·떡, 마지막 줄은 음료 순서로 차리면 큰 흐름이 맞습니다.




반응형